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JDBC
- string
- Board
- View
- Scanner
- 이클립스
- Oracle
- html
- jsp
- 문자열
- Array
- spring
- Eclipse
- Thymeleaf
- mysql
- rpa
- 배열
- Uipath
- jquery
- db
- Java
- MVC
- Database
- 상속
- Controller
- 자료구조
- API
- React
- SpringBoot
- 조건문
- Today
- Total
목록개발자 공부 (68)
유정잉

💻 Gemini CLI란?명령어 한 줄로 설치 가능한 오픈소스 도구로, 터미널에서 바로 Gemini AI 모델에 접근 가능⚙️ 설치 방법 1. Node.js v20 이상 다운로드 → https://nodejs.org/ko/download → 터미널(윈도우: PowerShell, 맥: 터미널)에서 node -v로 설치 및 버전 확인 가능 2. 터미널(윈도우: PowerShell, 맥: 터미널)에 명령어 입력 → npm install -g @google/gemini-cli → gemini 명령 실행 3. 처음 실행 시 테마 선택, Google 계정 로그인(개인 계정) 권장 4. Gemini 2.5 Pro 모델을 기반으로 작동. 하..
[ JS 파일 전역변수가 인식되지 않는 오류와 캐시 문제 해결 ] 문제 상황REQ.js에 전역 변수를 선언하고 이 전역변수를 다른 스크립트(REV.js) 혹은 JSP파일에서 사용해야 헀는데 로컬에서는 문제가 없었으나 배포 후 운영 환경에서는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 ! -> name이 정의되지 않았습니다. 분명히 전역 변수 정의를 했는데도 파일이 최신으로 반영되지 않아 변수 자체를 못 찾는 상황 ! var name = ""; 원인운영 서버에서 JS 파일이 갱신되지 않는 이유는 브라우저 캐시 때문 ! 크롬이나 IE(익스플로러)에서는 Ctrl + F5로 강력 새로고침을 해도 특정 상황에서는 스크립트 파일을 계속 이전 버전으로 로딩하는 문제가 발생.특히 script 태그로 파일을 import해서 사용 중인 ..

참고 문서 : https://docs.kakaoi.ai/kakao_work/ [ 봇(Bot) 설정 ]1. test 용 워크스페이스 생성 -> 카카오워크 홈페이지 관리자로 로그인 2. 알림 메세지 보낼 봇(Bot) 관리할 개발자 등록 봇(Bot) 관리 -> 봇(Bot) 개발자 관리 -> 개발자 추가 등록 -> 권한 부여할 멤버 이름 검색 후 추가 3. 알림 메세지 보낼 봇(Bot) 생성 봇(Bot) 관리 -> 봇(Bot) 개발 -> 봇(Bot) 생성하기 -> 이름 & 한 줄 설명 & 문의 설정 후 생성 생성한 봇 관리에 왼쪽 연필 아이콘 클릭(봇 수정가능) -> App Key 확인 이때, App Key를 하드코딩 하여 토큰이 외부에 노출되면 누구나 내 워크스페이스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
1. 모듈식 코드 (Modular Code)❓ "큰 프로그램을 잘게 나눠서 각각의 부품처럼 만들 수 없을까?" -> 그래서 나온 개념이 모듈화(Modularization)🔹 뜻기능별로 파일이나 함수, 클래스 등을 따로 나누는 방식각 모듈은 하나의 역할만 수행하도록 설계서로 독립적이어서 유지보수나 재사용이 쉬움🔧 예시 → 기능별로 따로 파일로 나눔 = 모듈식 코드// userService.jsexport function getUserInfo(userId) { ... }// authService.jsexport function login(id, pw) { ... }✅ 장점보기 쉬움수정이 쉬움테스트가 편함재사용이 가능함✅ 2. 애자일 방식 (Agile Methodology)❓ "프로젝트를 빨리 빨리 작고..
자바에서 가장 많이 쓰는 컬렉션 3종 세트✅ List✅ Set✅ Map ✅ 1. List — 순서 O, 중복 O대표 클래스: ArrayList🔹 선언 및 추가import java.util.*;List list = new ArrayList();list.add("apple");list.add("banana");list.add("apple"); // 중복 가능🔹 출력System.out.println(list); // [apple, banana, apple]for (String item : list) { System.out.println(item);}✅ 2. Set — 순서 X, 중복 X대표 클래스: HashSet, TreeSet🔹 선언 및 추가import java.util.*;Set set = ..
자바스크립트에서 filter()는 배열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요소만 "걸러내는(filter)" 메서드✅ 기본 개념let 결과배열 = 원본배열.filter(조건을판단하는함수);filter()는 배열의 각 요소를 순회하면서, 조건이 true인 값만 모아서 새 배열을 만들어 반환 ! 원본 배열은 변하지 않음✅ 간단한 예시const numbers = [1, 2, 3, 4, 5, 6];const evenNumbers = numbers.filter(n => n % 2 === 0);console.log(evenNumbers); // [2, 4, 6]n % 2 === 0 → 짝수인지 검사filter()는 true인 값들만 골라서 [2, 4, 6] 새 배열을 리턴함✅ 객체 배열 예시 const users = [ { na..
new Object()와 {}는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를 생성하는 두 가지 방법 ! 기능은 거의 똑같지만, 표현 방식과 실제 사용 시점에서 차이가 존재✅ 1. 기본 형태 비교방식문법설명생성자 방식new Object()Object 생성자를 이용해 객체 생성리터럴 방식{}객체를 직접 표현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 ✅ 2. 실제 예제 비교🔸 new Object() 사용let person = new Object();person.name = "유정";person.age = 25;🔸 객체 리터럴 {} 사용let person = { name: "유정", age: 25}; -> 결과적으로 둘 다 똑같은 객체를 만듦console.log(person.name); // "유정"console.log(person.age); ..
✅ 1. .some() — "하나라도 통과하면 true"🔹 문법array.some(callback)배열 안에 하나라도 조건을 만족하면 true, 아니면 false🔹 예시 1: 숫자 중에서 10보다 큰 값이 있는지?const numbers = [3, 7, 11, 2];const hasBigNumber = numbers.some(n => n > 10);console.log(hasBigNumber); // ✅ true (11 있음)🔹 예시 2: 참가자 중에 관리자(admin)가 있는지?const users = [ { name: "유정", role: "user" }, { name: "철수", role: "admin" }, { name: "민수", role: "user" }];const isAdminP..
자바스크립트에서 ==랑 ===는 둘 다 "같다"를 비교하는 연산자지만 동작 방식이 다름 ! 연산자이름비교 방식==동등 연산자값만 비교 (타입은 자동 변환해서 비교함)===일치 연산자값과 타입 모두 비교 (엄격한 비교)🔍 예제🔸 == (느슨한 비교)console.log(5 == "5"); // ✅ true (숫자 5와 문자열 "5"를 같은 값으로 취급)console.log(false == 0); // ✅ true (false는 숫자 0으로 변환돼 비교됨)console.log(null == undefined); // ✅ true (자바스크립트만의 특이한 규칙)🔸 === (엄격한 비교)console.log(5 === "5"); // ❌ false (값은 같지만 타입이 다름)c..
❓퀴즈다음 코드의 출력값은?let obj1 = { value: 10 };let obj2 = obj1;obj1.value = 20;console.log(obj2.value); 20 !🔍이유 설명let obj1 = { value: 10 };let obj2 = obj1;여기서 obj2 = obj1은 값 복사가 아니라, obj1이 가리키는 객체를 참조즉, obj1과 obj2는 같은 객체를 공유하고 있는 상태obj1.value = 20;이렇게 값을 바꾸면, 그 객체의 value 속성 자체가 바뀌기 때문에 obj2.value도 똑같이 20이 됨기본형은 값 복사, 객체는 참조 복사!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object)는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하나로 묶어서 저장하는 자료형쉽게 말해서, 이름표가 붙은 데이터의 모음집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