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잉

java [ 조건문 ] 본문

개발자 공부/🧸 자바 공부

java [ 조건문 ]

유정♡ 2024. 2. 13. 13:45

조건문 ? 어떤 조건이 주어질 때 어떤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즉 주어진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행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문장이다. if 절이 false이면 then 절은 실행되지 않는다.  if 절의 값이 true일 때 then절이 실행되고, false일 때 else절이 실행된다


 

1. if 문 : 조건식이 true값을 가질 때 중괄호({ }) 안의 실행문을 작동시킨다. 반대로 조건식이 false이면 중괄호({ })의 실행문은 동작하지 않고 if문을 빠져나간다 . 즉,   if 뒤의 괄호를 if절이라고 부르고, 중괄호가 감싸고 있는 구간을 then 절이라고 부른다면, 조건문에서는 if 절의 값이 true일 때 then 절이 실행된다.

int score  = 100 ; // 만약에 점수가 100점 이상이면 "합격"

if (score >=100 )
 { System.out.println("합격"); }

  => 합격 출력됨


 

2. if-else 문 : if문 만으로는 복잡한 내용을 처리하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if만을 사용할 때는 true일 때만 실행된다. false일 때 다르게 실행시키기 위한 if-else문이 존재한다.  조건식이 true이면 if절의 실행문을 실행시키고, false면 else 절의 실행문이 실행된다.

int score = 100; // 만약에 점수가 100점 이상이면 "합격" 아니면 "탈락"

if (score >=100 )
     { System.out.println("합격"); }
 else
    { System.out.println("탈락"); }

  => 합격 출력됨


 

3. else if 문 :  else if문을 이용하면 2개 이상의 조건식을 두고 흐름을 제어할 때 더 자유롭고 편리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else if절은 여러 번 정의할 수 있고, else절은 생략이 가능하다. 단,if문이 처음에 나오고 그다음에 else if문이 제일 마지막에 else문이 나와야 한다.

int score = 100; // if -else if-else 문

if (score <= 30)
{ System.out.println("4~5등급"); }

else if (score <=70)  
 {System.out.println("2~3등급"); }
else 
 {System.out.println("1등급"); }

  => 1등급 출력됨.


 

4. switch 문 : 조건문의 대표적인 문법은 if문이지만.  switch 문을 작성할 때 case는 여러 개가 나와도 상관없기 때문에 사용빈도는 적지만 조건이 많다면 switch문을 사용한다. break은 보조제어문 중 하나이다. 조건에 해당하는 실행문만 실행시키고 종료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switch문의 장점은 비교하고자 하는 조건이 많을 경우 사용하면 보기에 더 편한 경우가 있다.

728x90

'개발자 공부 > 🧸 자바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일차 용어정리  (0) 2024.02.20
java [ 반복문 ]  (0) 2024.02.13
java [ 비교 연산자 ]  (0) 2024.02.13
java [ 논리 연산자 ]  (0) 2024.02.13
java [ 숫자, 연산 ]  (0) 2024.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