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 2024. 2. 20. 17:53

기계어?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 컴퓨터가 이해할수 없는 언어는 컴파일 compile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0과 1로 이루어진 기계어로 변환한다.

 

자바는 1. 모든 운영체제에서 실행가능 2.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3. 메모리 자동 정리 4. 무료 라이브러리 풍부

 

jdk를 설치했다면 자바 소스 파일의 확장명은 .java이다. 

소스파일(.java)을 작성한 후에는 컴파일을 해야한다. 컴파일 결과 확장명이 .class인 바이트코드 ByteCode 파일로 생성된다.   자바소스파일 (.java) -> javac 명령어 (컴파일) -> 바이트코드 파일 (.class)

 

자바 가상 머신? java 명령어는 jdk와 함께 설치된 자바 가상 머신 Java Virtual Machine. JVM을 구동시켜 바이트코드 파일을 완전한 기계어로 번역하고 실행시킨다. 바이트코드 파일은 운영체제와 상관없이 모두 동일한 내용으로 생성되지만. 자바 가상 머신은 운영 체제에서 이해하는 기계어로 번역해야 하므로 운영체제별로 다르게 설치된다. 그래서 운영체제 별로 설치하는 JDK가 다른 것이다.

 

패키지란? 자바는 소스 파일 및 컴파일된 바이트코드 파일을 쉽게 관리하기 위해 패키지 (Pakage)를 사용한다.

 

Class ? 클래스 명은 첫문자를 대문자로 시작하여야 한다. 숫자로 시작할 수 없고, 공백을 포함해서는 안 된다.

 

Main 메소드? 프로그램 실행 진입점 entry point 라고 부른다. java program은 무조건 main 메소드 부터 시작한다.

 

주석 ? / 주석은 프로그램 실행과 상관없이 코드에 설명을 붙인 것이다.

 

변수? 변할 수 있는 값. 메모리 공간 확보를 한 후 데이터 값을 변수명에 넣는다. 변수 이름은 첫번째 글자가 문자여야 하고, 중간부터는 문자, 숫자, $, _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첫번째 문자를 소문자로 시작하는 것이 관례이다. 변수가 선언되었다면 값을 저장할 수 있는데, 이때 대입 연산자인 = (오른쪽 값을 왼쪽 값에 대입)를 사용한다.

수학에서는 =가 같다는 의미지만 자바에서는 우측 값을 좌측 변수에 대입하는 연산자로 사용한다. 변수에 최초로 값이 대입될 때 메모리에 할당되고, 해당 메모리에 값이 저장된다.

 

자동 타입 변환? 자동 타입 변환 promotion은 말 그대로 자동으로 타입 변환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값의 허용 범위가 작은 타입이 허용 범위가 큰 타입으로 대입될 때 발생한다. 큰 허용 범위 타입 = 작은 허용 범위 타입

 

강제 타입 변환? 큰 허용 범위 타입은 작은 허용 범위 타입으로 자동 타입 변환될 수 없다. 큰 허용 범위 타입을 작은 허용 범위 타입으로 쪼개어서 저장하는 것을 강제 타입 변환 casting이라고 한다. 작은 허용 범위 타입 = 큰 허용 범위 타입

 

자동 타입 변환, 강제 타입 변환
자동 타입 변환, 강제 타입 변환

Scanner ? 키보드 입력 데이터를 변수에 저장. 키보드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읽고 변수에 저장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Scanner.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실수 float의 경우 실수일 경우만 F붙여주면 됨. 정수 입력할시 F입력 안 해도 오류 발생  X. 

        float var1 = 10 ; float var2 = 10.4F ;

 

 

728x90